먼저 여러가지 집합의 기호와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자
소수 집합 = P
자연수 집합 = N
정수 집합 = Z
유리수 집합 = Q
실수 집합 = R
복소수 집합 = C
정도가 있다.
1. 실수 집합
실수 집합은 다음의 세 공리를 만족하는 집합으로 정의한다.
체 : 원소들의 집합을 이루면서 덧셈과 곱셈 2개의 연산자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, 각 원소가 0이 아닌 원소로
나눌 수 있는 대수적 구조
체의 응용 : 실수 R, 유리수 Q 와 같은 수 집합 체계에 대한 추상황에 유용함.
즉, 유리수 집합을 체로서 다룰 때는 유리수 체라고 함.
체 공리
1) 닫혀있음 : 집합 내 원소의 +의 결과가 다시 그 집합 내에 있게됨
2) 덧셈 항등원이 존재 (identity) : a + 0 = a = 0 + a
3) 모든 성분에 대해 덧셈 역원이 존재 (inverse) : a + (-a) = 0 = (-a) + a
4) 모든 성분에 대해 결합법칙이 성립 : (a + b) + c = a + (b + c)
5) 모든 성분에 대해 교환법칙이 성립 : a + b = b + a
1) 닫혀있음 : 집합 내 원소의 *의 결과가 다시 그 집합 내에 있게됨
2) 곱셈 항등원이 존재 (identity) : a * 1 = a = 1 * a
3) 0 이외의 모든 성분에 대해 곱셈 역원이 존재 (inverse) : a a^-1 = 1 = a^-1 a
4) 0 이외의 모든 성분에 대해 결합법칙이 성립 : (a b) c = a (b c)
5) 0 이외의 모든 성분에 대해 교환법칙이 성립 : a b = b a
덧셈에 대한 곱셈 연산의 분배법칙이 성립 : a (b + c) = a b + a c
순서 공리
실수 집합에서 각 수들에 "크기"가 있다는 공리. 즉, 1은 2보다 작다. 3은 2보다 크다 같은 말.
완비성 공리
R의 공집합이 아닌 부분집합이 위로 유계이면 그 부분집합은 상한을 갖는다. -> 상한공리
2. 체의 성질
체는 최소 아래 두 요소 만으로도 구성 가능
체의 대수적 구조에서 응용상 중요한 성질 : 각 원소가 역원을 가진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