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합성함수
어떤 원인이 하나의 함수를 만나 다른 결과를 낳고, 그 결과가 원인이 되어 다른 함수를 만나 또 다른 결과가 되는 상황
합성함수의 정의 :
두 함수 f : X -> Y , g : Y -> Z에 대하여
g · f : X -> Z
( g · f ) ( x ) = g(f(x))
2. 합성함수의 성질
- 일반적으로 두 함수 f, g에 대하여 g · f ≠ f · g 즉, 함수의 합성에서 교환법칙은 성립하지 않는다.
- 세 함수 f : X -> Y, G : Y -> Z, h : Z -> W에 대하여 (h · g) · f = h · (g · f) 즉, 함수의 합성에서 결합법칙이 성립한다.
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은 어떤 함수를 먼저 만나냐에 따라 함수식이 달라진다. 위에 일반적이라고
한 것은 보통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지만, 극히 일부는 성립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.
교환 법칙이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음은 아무 두 함수나 놓고 실제로 성립하지 않는걸 확인하면 된다.
'Programming > Soft Renderer_2020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벡터의 연산 (0) | 2020.04.01 |
---|---|
벡터의 정의 (0) | 2020.04.01 |
역함수 (0) | 2020.04.01 |
전단사 함수 (0) | 2020.04.01 |
실수 집합과 체의 성질 (0) | 2020.04.01 |